목차
2024년 시작한 이 사업은 임신 및 출산의 고위험 요인을 조기에 발견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필수 가임력 검사비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
지금이 아니더라도 언젠가 임신 계획이 있다면 필수 가임력 검사로 미리 생식건강을 관리하시길 바랍니다.
지원 대상 및 검사 항목
20세~ 49세 남녀면 결혼 여부 및 자녀 수와 무관하게 대상이 됩니다.
15~ 19세 남녀 중 부부 혹은 내국인 배우자가 있는 외국인도 추가 지원합니다.
여성은 난소기능검사(혈액검사), 부인과 초음파를 남성은 정액검사(정자정밀형태검사)를 지원합니다.
지원 금액 및 횟수
지원 금액: 여성은 최대 13만 원, 남성은 최대 5만 원을 지원합니다.
지원 횟수: 주요 주기별 1회, 최대 3회 지원하는데 주요 주기는 29세 이하(제1주기), 30~34세(제2주기), 35~49세(제3주기)로 나누어져 있습니다.
지원 신청 및 지원 절차
신청은 관할 보건소 방문 또는 e보건소 온라인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.
지원절차
검사비 지원 신청 | ➡ | 검사의뢰서 발급 | ➡ | 검사 및 결과상담 | ➡ | 검사비 청구 | ➡ | 검사비 지급 |
e보건소 온라인 신청 또는 보건소 방문 신청 |
신청 접수 및 검사의뢰서 발급(시스템) |
검사 실시 및 결과상담 * 신청일로부터 3개월 이내 검사 |
e보건소 또는 보건소에서 청구 * 검사일로부터 1개월 이내 청구 |
제출서류 확인 후 검사비 지급 * 청구일로부터 3개월 이내 지급 |
||||
검사 희망자 | 지자체(보건소) | 사업 참여 의료기관 | 대상자 | 지자체(보건소 |
자주 묻는 질문 FAQ
Q 검사 후에 신청해도 되나요?
A 아니요. 먼저 신청 및 검사 의뢰서 발급 후에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.
*단, 검사 당일 신청 시 예외 적용됩니다.
Q 어디서 검사받을 수 있나요?
A 거주 지역과 관계없이 전국 사업 참여 의료기관에서 검사받을 수 있습니다. 미참여 의료기관에서 검사받으면 지원 불가합니다.
Q 본인 부담액이 있나요?
A 지원금액 한도 (여성 13만 원, 남성 5만 원)를 넘는 금액은 본인이 부담하여야 합니다. 먼저 진료비를 납부하고, 추후 보건소에 청구하여야 합니다.
Q 가임력 검사비 지원을 받은 후 '난임부부 시술비 지원'도 받을 수 있나요?
A 네.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과 무관히 '가임력 확인 목적'의 검사를 실시한 경우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.
단, 이미 '난임부부 시술비 지원'으로 지원받은 검사는 지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.
Q 검사 의뢰서를 꼭 지참해야 하나요?
A 검사 의뢰서는 진료기관이 내원한 환자가 지원 사업의 대상자임을 인지하여 그에 따른 적절한 검사 및 상담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함으로 반드시 제시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.
'가정,육아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'치매 예방주사' '뇌 영양주사' '콜린' (0) | 2025.03.02 |
---|---|
로보락 S9 MaxV Ultra/S8 MaxV Ultra 비교,장단점 후기 (1) | 2025.02.26 |
4~50대 여성을 위한 사회복지사 2급 자격증 취득 방법 완벽 가이드 (0) | 2025.02.25 |
임산부는 엽산제 철분제 무료로 받자.(신청대상, 방법, 지원내용) (0) | 2025.02.24 |
초등 수학 이렇게 공부해야 합니다. (공부 방법, 문제집 추천) (0) | 2025.02.18 |
2025년 대구시 버스 노선 개편 핵심 안내! (0) | 2025.02.17 |
꼭 피해야 할 중학교 학원에 대해 알아봅시다. (0) | 2025.02.14 |
대구시 지원 원어민 화상영어(신청대상,비용 운영방안,주의점) (0) | 2025.02.1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