청년희망적금에 이어 두 번째 정부의 금융 정책은 바로 ‘청년도약계좌’입니다. 청년세대의 공정한 도약의 기회 보장을 위해 정부의 국정과제로 추진된 청년도약계좌는 중장기적인 청년의 자산 형성을 위해 더욱 장기간, 더 많은 금액을 모으는 데 초점을 맞춘 정책입니다.
오늘은 청년도약계좌에 대해서 꼭 필요한 정보로 알차게 적어보겠습니다.
목차
1. 청년도약계좌란?
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가 도입한 금융상품으로, 가입자가 매월 일정 금액을 적립하면 정부가 추가 기여금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 이 계좌를 통해 청년들은 안정적인 저축 습관을 기를 수 있으며, 만기 시 목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. 2025년 청년도약계좌는 기존 청년희망적금의 후속 정책으로, 더 많은 청년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.
2. 가입 대상 조건
구분조건
연령 | 만 19~34세 |
개인 소득 | 연 7,500만 원 이하 |
근로·사업소득 | 연 600만 원 이상 |
가구 소득 | 기준 중위소득 250% 이하 |
거주 요건 | 대한민국 거주자 |
기준 중위소득 250% (2025년 기준 예상치)
가구원 수 | 중위소득 250% (월 기준) |
1인 가구 | 약 5,429,950원 |
2인 가구 | 약 9,079,275원 |
3인 가구 | 약 11,705,325원 |
4인 가구 | 약 14,297,400원 |
5인 가구 | 약 16,836,300원 |
3. 가입 시 혜택
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면 정부의 다양한 지원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- 정부 기여금 지원: 가입자의 소득 수준에 따라 정부가 최대 3.3만 원까지 기여금을 지급합니다.
- 비과세 혜택: 청년도약계좌에서 발생하는 이자 소득에 대해 비과세 적용
- 자금 활용 가능: 만기 시 목돈 마련을 통해 주거비, 창업자금, 학자금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
정부 기여금 지원 기준 (2025년)
개인 소득 구간 | 정부 기여금 (월 최대) |
2,400만 원 이하 | 33,000원 |
2,400만 원 초과 ~ 4,800만 원 이하 | 22,000원 |
4,800만 원 초과 ~ 7,500만 원 이하 | 14,000원 |
4. 가입 절차
청년도약계좌 가입 절차는 간단하며, 아래 단계를 따르면 쉽게 가입할 수 있습니다.
- 가입 가능 여부 확인: 서민금융진흥원 및 은행 홈페이지에서 본인의 가입 가능 여부 확인
- 금융기관 선택: 청년도약계좌 취급 금융기관 중 원하는 은행 선택
- 신청서 제출: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신청서 제출 및 서류 확인
- 계좌 개설 및 납입 시작: 계좌 개설 후 정기적으로 금액 납입
- 정부 지원금 수령: 정부 기여금이 자동으로 입금됨
2025년 청년도약계좌는 국민은행, 신한은행, 우리은행, 하나은행, 기업은행, 농협은행, 부산은행, 대구은행, 광주은행, 전북은행, 제주은행 등 주요 시중은행과 지방은행에서 가입할 수 있습니다. 은행별로 금리와 서비스가 다를 수 있으므로, 가입 전 비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5. 가입 시 유의사항
청년도약계좌 가입 전 반드시 유의해야 할 사항들이 있습니다.
- 1인 1계좌 원칙: 1인이 여러 개의 계좌를 개설할 수 없음
- 의무 가입 기간 준수: 중도 해지 시 정부 지원금을 받을 수 없으며, 일부 금융상품은 페널티가 발생할 수 있음
- 납입 기간 준수: 일정 금액을 정기적으로 납입해야 혜택을 받을 수 있음
- 소득 요건 변화 주의: 가입 후 소득이 증가하여 7,500만 원을 초과할 경우 정부 지원금 지급이 중단될 수 있음
- 청년희망적금 가입자 제한: 기존에 청년희망적금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 청년도약계좌 가입 불가
6. 일시납 가능 여부 및 관련 정보
청년도약계좌는 매월 일정 금액을 납입하는 정기적립식 상품으로, 일시납 방식은 허용되지 않습니다.
청년도약계좌 납입 방식
납입 방식 | 가능 여부 |
매월 정기 납입 | O |
일시납 | X |
추가 납입 | 불가 |

이 글이 2025년 청년도약계좌 가입을 고려하는 청년들에게 유용한 정보가 되기를 바랍니다.
'가정,육아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년 국민연금 예상수령액, 수령연령, 수령액 조회방법 (0) | 2025.03.25 |
---|---|
경차사랑카드 ( 현대,신한,롯데카드 비교) (0) | 2025.03.19 |
2025년 경차 유류세 환급제도, 최대 30만원 (1) | 2025.03.19 |
2025년 봄꽃 축제,개화시기,필수 준비물 정리! (1) | 2025.03.19 |
2025년 교육급여, 교육비 지원(신청기간, 방법, 자격, 금액 등) (0) | 2025.03.19 |
9급 공무원,한국사능력검정시험으로 대체(시험일정,문항,점수 등) (0) | 2025.03.18 |
모바일 주민등록증 전국 발급 개시(은행, 관공서 등 사용가능) (0) | 2025.03.18 |
대구2025 농식품 바우처 지원사업 안내(대상,지원금액,신청날짜,신청방법) (0) | 2025.03.04 |